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비트코인 가격 전망하기! 선물거래 개념, 청산맵 보는 방법!

[코인 TIP]

by 4T 2021. 12. 23. 12:56

본문

안녕하세요?

항상 투자를 할 때 어떠한 근거가 바탕이 되어야 합니다.

지속해서 저도 공부하고 있지만 참고할 것이 너무 많은 것 같습니다.

그만큼 시장이 복잡하며 예측하기 어렵다는 것이겠죠!

 

오늘은 암호화폐의 선물시장과 관련된 투자간 참고할 만한 지표들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업비트, 빗썸같은 국내거래소에서 코인을 사고 파는 방식을 현물거래라고 합니다.

대중적인 암호화폐 투자방법이죠.

 

반면, 선물거래는 미래가치를 사고 파는 개념입니다.

 

쉽게 예를들어, 꼬부기가 피카츄에게 담배를 4,500원에 팔면 이는 현물거래입니다.

꼬부기는 다음에도 팔기 위해 1년 후에 피카츄에게 담배를 같은 가격에 팔기로 약속합니다.

그런데 세금이 올라서 담배 값은 5,000원이 되어버렸습니다.

담배 값은 5,000원이지만 피카츄와의 약속때문에 4,500원에 팔 수 밖에 없었고 결국 꼬부기는 500원 손해를 보고 피카츄는 500원 싸게 담배를 살 수 있었습니다. 만약 담배 값이 떨어졌다면 피카츄가 손해를 봤겠죠?

조금 동심파괴지만 선물거래의 예시라고 생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한마디로 선물거래는 가격이 올라도, 떨어져도 이익을 볼 수 있는 거래방법입니다.

'떨어져도 이익을 볼 수 있다' 이 부분이 바로 우리가 주목해야 할 점입니다. 시장을 움직이는 큰 세력들이 필요에 따라 가격을 내려도 타격이 없을테니 말입니다.

일반적으로 비트코인 선물시장에서 가격이 오르는 것에 배팅하는 것을 롱(Long), 내리는 것에 배팅하는 것을 숏(Short)이라고 합니다. 롱은 가격이 오르면 이득을, 숏은 내리면 이득을 보는 것이죠.

 

국내거래소와 해외거래소의 비트코인은 어느정도의 가격차이가 발생합니다.

김치프리미엄, 김프, 역프를 한번쯤은 들어보셨을 겁니다.

이는 거래되는 거래소, 국가별 통화의 가치가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지만 보통은 정상적인 범위 내에서 발생합니다.

선물시장과 현물시장 모두 마찬가지로 같은 비트코인이라도 보통은 선물시장의 비트코인 가격이 더 높습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이러한 가격차는 현물시장이 선물시장을 따라가며 메꿔집니다.

* 선물시장이 현물시장을 선도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추후에 자세하게 다루겠습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현물만 거래하더라도 선물시장에 관심을 가지는 것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청산맵(Liquidation Map)이란, 이러한 비트코인의 선물시장에 롱과 숏 포지션이 얼마나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인데 롱과 숏의 비율이 중요한 이유는 시장의 심리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시장의 심리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공포탐욕지수'도 있습니다만 청산맵은 구체적으로 어느 가격대에 얼만큼의 포지션이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대표적인 킹피셔의 청산맵. 유료이다...

거래량처럼 보이는 위의 그래프는 청산맵입니다. 현재 킹피셔의 청산맵이 가장 유명하고 많이 쓰이나 유료라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킹피셔의 공식 트위터에서 비트코인의 동향을 분석하는 각종 유용한 자료들이 올라오고 청산맵상의 특이사항이 발생하면 유튜버들이 알아서 올리고 분석해줍니다.(...?)

 

보는 방법은 가운데 초록색 화살표가 현재의 가격이며 x축이 비트코인의 가격, y축은 해당 가격에 도달하면 청산되는 포지션의 물량입니다. 쉽게 생각하면 비트코인의 현재가가(초록색 화살표) 올라서 그래프상 우측으로 이동하여 막대기들을 건들면 해당 포지션들이 청산되는 형식입니다. 사진속에는 55,000달러대에 굉장히 많은 물량들이 있는데 현재가보다 낮은 가격에 위치하였고 비트코인이 55,000달러에 도달하면(떨어지면) 청산당하는 물량들이므로 롱 포지션들이며 시장은 상승에 무게를 두고있다고 간단하게 분석할 수 있습니다.

 

시장이 어떻게 흐를 것이라는 참여자들의 심리는 '롱(상승)'입니다. 시장이 그들의 기대처럼만 흐르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하지만, 호락호락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가끔 비트코인 관련 뉴스를 보면 '강제 청산', '대규모 청산'이라는 단어를 보셨을 겁니다. 시장의 심리와 반대로 가격이 큰 폭으로 움직이면 반대 포지션들의 대규모 청산이 발생합니다. '부처빔', '헝다빔' 등 급작스러운 하락과 함께 시장을 낙관적으로 바라보던 롱 포지션들이 청산당했던 과거가 있죠.

 

이처럼, 시장은 투자자들의 기대와 다르게 급변하는 경우가 크므로 항상 주의해야 합니다. 그러한 점에서 청산맵은 정확히 어느 방향에, 어디까지 가격이 급변할지 참고할 수 있는 지표라는 것이죠.

 

다음엔 미결제 약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전부 이어서 쓰려고 하였으나 개인적인 시간관계상 이어서 쓰겠습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